2024년 패스트 캠퍼스 챌린지

패스트캠퍼스 환급챌린지 18일차 미션 (2월 18일) : 30개 프로젝트로 끝내는 추천시스템 구현 초격차 패키지 강의 후기

조이쓰 2024. 2. 18. 23:17

강의 내용 Review


📍배운내용📍

  • 딥러닝 추천시스템 분류 
  • CF기반 딥러닝 알고리즘 

👉강의내용👈

딥러닝 추천 시스템 분류

  • 분류 체계: 협업 기반, 컨텐츠 기반, 시퀀셜 기반 
  • CF기반 알고리즘: 협업필터링 : 집단 지성을 기반으로, 유저가 비슷한 사람이 좋아한 추천
  • 유사도 기반 추천, 행렬 분해기반 추천 -> 성능한계 , 뉴럴넷 기반의 추천 제안됨 
  • 뉴럴넷 기반 협업필터링
  • NCF(Neural Collaborative Filtering)
  • 협업 필터링에 딥러닝 적용한 모델 
  • 선형적이고 비선형적인 패턴을 잡음 
  • MF : 유저 아이템의 상호작용, 각각의 레이턴트 벡터의 내적을 취해 얻음 -> 선형 모델 
  • 선형적인 상호작용 모델은 암묵적인 피드백 상황에서는 잘 작동하지 않음, 불분명함 
  • dot product로 처리하는 문제는 선형적인 문제만 잡을수있고 복잡한 문제에는 어려움
  • NCF는 메트릭스 팩토라이제이션 모델을 뉴럴넷으로 구현하는 접근 
  • 유저와 아이템에 대한 원 핫 벡터
  • GMF: MF내적 부분을 엘리먼트 와이즈 곱 연산과 시그모이드 비선형 활성함수로 대체해서 구조를 일반화 함 
  • 비선형성을 도입하고 사용자와 아이템 임베딩간에 더 복잡한 상호작용을 허용함으로 모델의 표현력및 예측력을 허용
  • MF유저 벡터와 아이템 벡터가 입력으로 들어와서 벡터의 표현을 구함 
  • 두가지를 함께 하는 것에 이점: 비선형 패턴을 잡는데 어려움이 있음, 선형적인 인터렉션의 어려움 
  • 비선형 함수는 렐루 사용함, 오버피팅 방지및 스파이스한 데이터에 유용 
  • 표현 학습 방식으로 접근함 Auto Encoder모델 
  • 오토인코더: 입력과 출력이 동일한 형태의 모양을 갖도록 압축된 형태의 표현을 학습할수있는 비지도 힉습기반의 차원 축소 모델 
  • 모델의 경우 입력을 암호화하는 인코더부분과 복호화 하는 디코더 모델이 있음 
  • 실제값과 예측값의 RMSE와 같은 손실값을 구함 이에 따라 가운데 파라미터의 가중치를 업데이트 함 
  • 입력 피처의 중요한 것만 나타내도록 함, 텀은 파라미터를 정규화 하는 역할을 함 
  • MF와 CNN의 만남 : 텍스트 정보를 반영하면 추천에 더 좋지 않을까? 
  • 텍스트 데이터를 활용한 CNN의 활용을 말함, 유저 평점에 대한 추론 
  • CNN에서 학습데이터를 반영하는 방법: 임베딩 레이어 

 

공부사진 


 

 

18일차 후기


오늘도 많이 못들었네ㅠ 얼른들어야지

 

 

 

 

본 포스팅은 패스트캠퍼스 환급 챌린지 참여를 위해 작성하였습니다.

https://bit.ly/48sS29N